본문 바로가기

세상 이야기

혼돈의 미국 501 - 인류를 봉쇄하는 책략가들은 이 정도면 만족하나요?

봉쇄 패러다임이 무너지고 있다

The Lockdown Paradigm Is Collapsing
By Jeffrey Tucker  
Apr 23, 2021 - 1:44:50 AM

https://www.aier.org/article/the-lockdown-paradigm-is-collapsing/

April 20th 2021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오래 걸리지 만 마침내 그 일이 일어나고있는 것 같습니다 : 봉쇄 패러다임이 무너지고 있습니다. 그 징조는 우리 주변에 있습니다.

한때 봉쇄의 영웅이었던 쿠오모 Andrew Cuomo 뉴욕 주지사는 현재 매우 인기가 없으며 대부분의 유권자들은 그가 사임하기를 원합니다. 한편, 여론 조사는 향후 공화당 GOP에 대한 영향력을 위해 플로리다 주지사와 봉쇄 상대 론 드산티스 Ron DeSantis를 선호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놀라운 운명의 뒤바뀜 remarkable flip in fortunes은 봉쇄가 재앙적인 정책이라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드산티스와 함께 봉쇄 방지에 나섰던 크리스티 노엠 Kristi Noem주지사는 진실을 솔직하게 말한 첫 번째 사람입니다. 그들의 정직함으로 두 사람은 신뢰를 얻었습니다.

 

It's taken much longer than it should have but at last it seems to be happening: the lockdown paradigm is collapsing. The signs are all around us.

The one-time hero of the lockdown, New York Governor Andrew Cuomo, is now deeply unpopular and most voters want him to resign. Meanwhile, polls have started to favor Florida governor and lockdown opponent Ron DeSantis for influence over the GOP in the future. This remarkable flip in fortunes is due to the dawning realization that the lockdowns were a disastrous policy. DeSantis and fellow anti-lockdown governor Kristi Noem are the first to state the truth bluntly. Their honesty has won them both credibility.

 

한편, 하원 청문회에서 조던 James Jordan (R-OH) 의원은 파우치 Fauci 박사가 폐쇄된 미시간이 오랫동안 완전히 개방 된 이웃 위스콘신보다 질병 유병률이 더 나쁜 이유를 설명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파우치 Fauci는 질문을 들을 수없고 차트를 볼 수없고 이해하지 못하는 척했습니다. 마침내 그는 집행에 있어서 차등 조치에 대해 몇 가지 진부한 말을 한 후 조용히 앉아있었습니다.
봉쇄 추진자들은 이제 텍사스의 거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 주는 6 주 동안 제한없이 완전히 개방되었습니다. 같은 기간에 사건과 사망자가 극적으로 감소했습니다. 파우치Fauci는 이에 대해서 답이 없습니다. 또는 폐쇄된 캘리포니아와 개방된 플로리다를 비교해 보십시오 : 유사한 사망률. 미국에서 개방 및 폐쇄 및 질병 결과를 비교할 수있는 다양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런 폐쇄 조치는 결과와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Meanwhile, in Congressional hearings, Representative James Jordan (R-OH) demanded that Dr. Fauci account for why closed Michigan has worse disease prevalence than neighboring Wisconsin which has long been entirely open. Fauci pretended he couldn't hear the question, couldn't see the chart, and then didn't understand. Finally he just sat there silent after having uttered a few banalities about enforcement differentials.

The lockdowners are now dealing with the huge problem of Texas. It has been fully open with no restrictions for 6 weeks. Cases and deaths fell dramatically in the same period. Fauci has no answer. Or compare closed California with open Florida: similar death rates. We have a full range of experiences in the US that allow comparisons between open and closed and disease outcomes. There is no relationship.

 

또는 2,350 만 명의 사람들을 통제하지 않는 대만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코로나 19로 인한 사망자 수 : 11명. 개방 상태를 유지한 스웨덴은 대부분의 유럽보다 더 나은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문제는 이 지역들도 바이러스에 직면한 폐쇄의 유무가 질병 궤적과 완전히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입니다. AIER는 이것이 사실임을 보여주는 전세계 33 개의 사례 연구를 모았습니다.

이 문제가 왜 중요합니까? 폐쇄를 권장한 "과학자"는 바이러스를 통제하고 부정적인 결과를 최소화할 수있는 방법을 찾았다고 매우 정확하게 지적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봉쇄가 엄청난 부수적 피해를 입혔음을 확실히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은 폐쇄와 질병 결과 사이의 관계입니다.

 

Or you could look to Taiwan, which had no stringencies governing its 23.5 million people. Deaths from Covid-19 thus far: 11. Sweden, which stayed open, performed better than most of Europe.

The problem is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lockdowns in the face of the virus seem completely uncorrelated with any disease trajectory. AIER has assembled 33 case studies from all over the world showing this to be true.

Why should any of this matter? Because the "scientists" who recommended lockdowns had posited very precisely and pointedly that they had found the way to control the virus and minimized negative outcomes. We know for sure that the lockdowns imposed astonishing collateral damage. What we do not se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lockdowns and disease outcomes.

 

봉쇄를 추진한 과학자들이 구체적이고 위조 가능한 예측을 했기 때문에 이것은 파괴적입니다. 이것은 아마도 그들의 가장 큰 실수였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그들의 이론에 대한 테스트를 시작했습니다. 그들의 이론은 실패했습니다. 이것은 과학 혁명의 구조 (1962)에서 토마스 쿤 Thomas Kuhn이 설명했듯이 과학적 패러다임의 붕괴를 일으키는 일종의 중대 순간입니다.

 

This is devastating because the scientists who pushed lockdowns had made specific and falsifiable predictions. This was probably their biggest mistake. In doing so, they set up a test of their theory. Their theory failed. This is the sort of moment that causes a collapse of a scientific paradigm, as explained by Thomas Kuhn in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1962).

 

비슷한 상황의 좋은 예는 니키타 흐루시초프의 소비에트 경제일 수 있습니다. 그는 공산주의 하에서 러시아 경제가 미국보다 더 나은 성과를 거두겠다는 약속으로 권력을 잡았습니다. 그것이 그의 유명한 약속 "우리가 당신을 묻을 것입니다, "의 핵심이었습니다. 그는 러시아가 미국을 능가할 것이라는 뜻이었습니다.

그것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그는 실패했고 그가 추진한 이론은 실패했습니다. 그리하여 공산주의 이론과 실천이 천천히 흩어지기 시작했습니다. 흐루시초프는 이미 스탈린주의 테러 국가를 거부했지만 중앙 계획에서 전체 소비에트 실험의 느린 종말을 주도할 의도는 전혀 없었습니다. 그의 약속을 위조할 수있는 테스트를 설정함으로써 그는 전체 시스템을 지적 거부와 궁극적인 붕괴로 몰아 넣었습니다.
봉쇄주의의 이론과 실제는 같은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A good example of a similar situation might be the Soviet economy under Nikita Khrushchev. He came to power with a promise that he would make the Russia economy under communism perform better than the United States. That was the essence of his famous promise "We will bury you." He meant that Russia would outproduce America.

It did not happen. He failed and the theory he pushed failed alongside. And thus began the slow coming apart of communist theory and practice. Khrushchev had already repudiated the Stalinist terror state but never had any intention of presiding over the slow demise of the entire Soviet experiment in central planning. By setting up a test that could falsify his promise, he doomed an entire system to intellectual repudiation and eventual collapse.

The theory and practice of lockdownism could be going the same way.

 

쿤의 과학사 재구성에서 그는 과학의 진보는 선형적인 방식이 아니라 오히려 새로운 정설이 등장하고, 성문화되고, 너무 많은 변칙이 자신의 무게로 무너짐에 따라 일회적으로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패턴은 다음과 같습니다. 퍼즐 풀기와 실험에 의해 주도되는 정상적인 과학이 있습니다. 이론이 가장 잘 알려진 정보를 포착하는 것처럼 보일 때, 새로운 정통성 즉 패러다임이 나타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너무 많은 새로운 정보는 이론이 예측하거나 설명하는 것과 모순되는 것처럼 보입니다. 따라서 패러다임의 위기와 붕괴가 나타납니다. 순환이 다시 시작되면서 우리는 패러다임 이전 시대로 들어갑니다.

 

In Kuhn's reconstruction of the history of science, he argued that progress in science occurs not in a linear fashion but rather episodically as new orthodoxies emerge, get codified, and then collapse under the weight of too many anomalies.

The pattern goes like this. There is normal science driven by puzzle solving and experimentation. When a theory seems to capture most known information, a new orthodoxy emerges - a paradigm. Over time, too much new information seems to contradict what the theory would predict or explain. Thus emerges the crisis and collapse of the paradigm. We enter into a pre-paradigmatic era as the cycle starts all over again.

 

누구나 알 수 있듯이 2005 년부터 2006 년까지 미국과 영국에서 새로운 바이러스에 직면했을 때 폐쇄한다는 아이디어가 떠올랐습니다. 그것은 전통적인 공중 보건에 반대하는 소수의 광신자들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그들은 사람들의 행동을 지시 통제함으로써 바이러스를 관리할 수 있다고 가정했습니다. 서로 가까이 서있는 정도, 여행한 장소, 참석한 행사, 앉은 장소, 시간 등이 통제 대상입니다. 그들은 폐쇄와 제한에 대한 아이디어를 밀어붙였고, "표적 계층 격리"를 통해 "비-약물적 개입"이라는 상표를 붙였습니다. 그들이 제안한 것은 실제로는 중세의 대처법이었지만 이번에는 컴퓨터 과학과 역학 computer science and epidemiology 이란 옷을 입고 나왔습니다.

 

As best anyone can tell, the idea of locking down when faced with a new virus emerged in the US and the UK around 2005-2006. It started with a small group of fanatics who dissented from traditional public health. They posited that they could manage a virus by dictating people's behavior: how closely they stood next to each other, where they travelled, what events they attended, where they sat and for how long. They pushed the idea of closures and restrictions, which they branded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 through "targeted layered containment." What they proposed was medieval in practice but with a veneer of computer science and epidemiology.

 

이 아이디어가 처음 떠올랐을 때 격렬한 반대를 맞았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봉쇄 패러다임은 게이츠 재단 Gates Foundation의 자금 지원과 학계 및 공중보건 관료 기관의 더 많은 채용으로 진전되었습니다. 그들은 이에 대한 저널과 컨퍼런스를 열었습니다. 국가 차원의 지침은 학교 및 사업 폐쇄에 대한 아이디어와 격리 권한의 보다 광범위한 호응을 통해서 따뜻해지기 시작했습니다. 10 년이 걸렸지만 결국 이단은 이렇게 준 정통이 되었습니다. 그들은 봉쇄에 대한 아이디어가 처음 떠오른 후 15 년 만에 출현한 새로운 병원체에 대한 이론을 시험해 볼 수있을만큼 충분한 권력을 차지했고, 전통적인 역학은 처음에는 점차적으로 그리고 한 번에 모두 소외되었습니다.
쿤 Kuhn은 새로운 정통이 어떻게 점차 오래된 것을 대체하는지 설명합니다.

 

When the idea was first floated, it was greeted with ferocious opposition. Over time, the lockdown paradigm made progress, with funding from the Gates Foundation and more recruits from within academia and public health bureaucracies. There were journals and conferences. Guidelines at the national level started to warm to the idea of school and business closures and a more broad invocation of the quarantine power. It took 10 years but eventually the heresy became a quasi-orthodoxy. They occupied enough positions of power that they were able to try out their theory on a new pathogen that emerged 15 years after the idea of lockdown had been first floated, while traditional epidemiology came to be marginalized, gradually at first and then all at once.

Kuhn explains how a new orthodoxy gradually replaces the old one:

 

자연 과학의 발전에서 개인이나 집단이 처음으로 다음 세대의 실무자들을 끌어들일 수있는 종합을 만들면, 오래된 학교는 점차 사라집니다. 부분적으로 그들의 실종은 회원들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에 기인합니다. 그러나 항상 오래된 견해 중 하나 또는 다른 것에 집착하는 일부 남성이 있으며 그들은 단순히 직업에서 읽히고 그 후에는 그들의 일을 무시합니다. 새로운 패러다임은 필드에 대한 새롭고 보다 엄격한 정의를 의미합니다. 자신의 작업을 수용하지 않거나 수용 할 수없는 사람들은 고립된 상태로 진행하거나 다른 그룹에 소속되어야 합니다.

When, in the development of a natural science, an individual or group first produces a synthesis able to attract most of the next generation's practitioners, the older schools gradually disappear. In part their disappearance is caused by their members' conversion to the new paradigm. But there are always some men who cling to one or another of the older views, and they are simply read out of the profession, which thereafter ignores their work. The new paradigm implies a new and more rigid definition of the field. Those unwilling or unable accommodate their work to it must proceed in isolation or attach themselves to some other group.

그것은 봉쇄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승리했는지에 대한 좋은 설명입니다. 봉쇄가 발생한 이유에 대한 음모 이론이 많이 있습니다. 그들 중 다수는 진실의 알갱이를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왜 그런 일이 발생했는지 이해하기 위해 그들에게 의지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것들을 믿는 사람들이 아이디어의 세계에서 지배적이 되거나 적어도 공중 보건의 전통적인 원칙을 무시하고 추방할만큼 눈에 띄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봉쇄는 주로 봉쇄 이념에 의해 주도되었습니다. 이 이상한 새로운 이데올로기의 지지자들은 시간이 증명한 원칙보다 앞서 그들의 의제를 추진할 수있을 정도로 성장했습니다.

 

That's a good description of how lockdown ideology triumphed. There are plenty of conspiracy theories out there concerning why the lockdowns happened. Many of them contain grains of truth. But we don't need to take recourse to them to understand why it happened. It happened because the people who believed in them became dominant in the world of ideas, or at least prominent enough to override and banish traditional principles of public health. The lockdowns were driven primarily by lockdown ideology. The adherents to this strange new ideology grew to the point where they were able to push their agenda ahead of time-tested principles.

 

약속이 내재된 것은 이 이데올로기의 축복입니다. 그들은 전통적인 공중보건 관행보다 더 나은 질병 결과를 얻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약속은 결국 한가지 간단한 이유 때문에 취소될 것입니다. 쿤 Kuhn은 과학사에서 이것은 "정상 과학의 퍼즐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끊임없는 실패로 인한 위기의 전주곡입니다. 기존 규칙의 실패는 새로운 규칙을 찾기위한 전주곡"이라고 썼습니다. 더 나아가 : "위기의 중요성은 재편의 기회가 도래했다는 신호입니다."

쿤의 과학적 진보 이론은 봉쇄주의의 흥망 성쇠와 잘 어울립니다. 그들은 많은 사람들을 전통적인 원칙에서 멀어지게 만드는 이론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 이론은 시험과 함께 나왔습니다. 이론은 테스트에 실패했습니다. 그 정도는 날이 갈수록 더 분명해지고 있습니다.

 

It is a blessing of this ideology that it came with a built-in promise. They would achieve better disease outcomes than traditional public health practices, so they said. This promise will eventually be their undoing, for one simple reason: they have not worked. Kuhn writes that in the history of science, this is prelude to crisis due to "the persistent failure of the puzzles of normal science to come out as they should. Failure of existing rules is the prelude to a search for new ones." Further: "The significance of crises is the indication they provide that an occasion for retooling has arrived."

Kuhn's theory of scientific progress fits rather well with the rise and fall of lockdownism. They had a theory that converted many people away from traditional principles. That theory came with a test. The theory has failed the test - that much is becoming more obvious by the day.

 

의회 청문회에서 파우치 Fauci의 침묵이 말하고 있습니다. 그의 기꺼이 메인 스트림 미디어 TV 앵커들과 인터뷰를 하려는 의지도 마찬가지다. 1 년 전에 공개되고 정돈된 다른 많은 폐쇄 장치들은 침묵을 지켰고, 더 적은 수의 트윗과 확실하지 않고 더 은밀한 콘텐츠를 전송했습니다. 가짜 폐쇄주의 과학의 위기가 지금 우리에게 닥칠 수는 없지만 다가오고 있습니다.
쿤 Kuhn은 과학의 위기 이후 시기를 새로운 패러다임이 출현할 때라고 말합니다. 처음에는 초기 단계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식화됩니다. 폐쇄 이념을 대체할 것은 무엇입니까? 우리는 인권의 법적 및 도덕적 원칙과 정부 권한에 대한 제한이 그랬던 것처럼, 공중보건의 낡은 원칙이 우리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을 깨달았으면 합니다.

 

The silence of Fauci in Congressional hearings is telling. His willingness only to be interviewed by fawning mainstream media TV anchors is as well. Many of the other lockdowners that were public and preening one year ago have fallen silent, sending ever fewer tweets and content that is ever more surreptitious rather than certain. The crisis for the fake science of lockdownism may not be upon us now but it is coming.

Kuhn speaks of the post-crisis period of science as a time for a new paradigm to emerge, first nascently and then becoming canonical over time. What will replace lockdown ideology? We can hope it will be the realization that the old principles of public health served us well, as did the legal and moral principles of human rights and restrictions on the powers of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