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미국의 망상 : '그냥 한 명의 인물로 보는 것'
The Great American Delusion: 'Just That One Guy'
BY TYLER DURDEN
WEDNESDAY, MAR 17, 2021 - 12:05 AM
www.zerohedge.com/geopolitical/great-american-delusion-just-one-guy
Authored by Patrick Armstrong via The Strategic Culture Foundation,
객관적인 현실이 있습니다. 가장 강력하고 의지가 강한 개인은 기존 가능성 내에서만 미래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There is an objective reality: and the most powerful and strong-willed individual can only shape the future within the existing possibilities.

추천 동영상
연준 은행이 돈을 풀어 유동성을 높인 후 월스트리트 반등
Recommended Videos
Wall Street Bounces, After Selloff Fed Boosts Liquidity
시작 Play
음성 허용 Unmute
길이 Duration 0:33 /
현재 시각 Current Time 0:08
적재 Loaded: 48.09%
풀스크린업 다음 FullscreenUp Next
이제 개시 NOW PLAYING

연준 은행이 돈을 풀어 유동성을 높인 후 월스트리트 반등
Wall Street Bounces, After Selloff Fed Boosts Liquidity

소프트 뱅크, 알리바바 주식 140 억 달러 매각 계획 발표
SoftBank Said to Plan $14 Billion Sale of Alibaba Shares

중국 기업, 기록상 최악의 분기 기록, 베이지 북의 보고
China’s Companies Have Worst Quarter on Record, Beige Book Says

고려중인 미국-사우디 석유 동맹, 브루일렛 Brouillette는 말한다
U.S.-Saudi Oil Alliance Under Consideration, Brouillette Says

현재 시장 환경에서 ETF 인덱스 선물 거래량 급증
ETF Volumes Surge in Current Market Environment

투자자들이 V 자 회복 포기, BNY의 젊은 주의
Investors Have Given Up on a V-Shaped Recovery, BNY's Young Cautions
내 경력에서 나는 미국 정보기관과 정기적인 회의에 참여했습니다. 나 – 우리 – 항상 개인에 대한 집착에 매료되었습니다. 한 번 그들은 각 그룹에 보스의 동료가 세 그룹으로 나뉘어진 차트를 자랑스럽게 제시했습니다. 이것을 만드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었다고 확신합니다. 하지만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습니까? 우리가 더 잘 예측하고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까? 물론 그렇지 않았습니다.
In my career I used to participate in regular meetings with an American intelligence agency. I – we – were always fascinated by their obsession with individuals. One time they proudly presented each of our group with a chart showing the Boss’ associates distributed into three groups. I’m sure creating this had cost a lot of time and money, but what use was it? Did it allow us to predict better, understand better? Of course it didn’t.
한 개인이 한 그룹에서 100 %, 다른 두 그룹에서 0 %라는 생각의 부조리와는 별개로, 적어도 한 그룹은 두 그룹에 똑같이 잘 맞았습니다. 진실은 그들이 결정을 내리는 팀이고 외부인은 프로세스 내부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전혀 몰랐습니다. 3 개 그룹으로 구성된 분할은 더 근거없는 추측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어떤 결정이 한 그룹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되면 누가 올랐고 누가 실패했는 지에 대한 추측이 쇄도할 것입니다.
Quite apart from the absurdity of thinking that an individual was 100% in one group and 0% in the other two – least one fitted two groups equally well – the truth was that they were a team which made decisions and outsiders had no idea what went on inside the process. The three-group division just led to more ungrounded speculation – if some decision were imagined to be to the benefit of one group, then a flurry of speculation about who was up and who was down would erupt.
데이터 부재시 이론 :
괴짜 crackpot들의 노동. 많은 돈, 시간 및 승진이지만 전혀 이해하지 못합니다. 또 다른 경우에는 리더십 변화에 대한 그들의 예측이 전적으로 개인적이었습니다. X라면 이것이 Y라면 저것입니다. (실제로 성공한 사람은 목록에 없습니다.) 내 그룹의 접근 방식은 아직 알려지지 않은 후임자가 처리해야 하는 제약 사항을 설명하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맥락을 파악하려고 노력했습니다;
Theorising in the absence of data:
a labour of crackpots. Lots of money, time and promotions but very little understanding. On another occasion their predictions at a leadership change were entirely personal – if X, then this, if Y, then that. (And the person who actually did succeed wasn’t on their list.) My group’s approach was to try and describe what constraints the as-yet-unknown successor would have to deal with. We were trying to work out the context;
그들은 성격을 이야기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객관적인 현실이 있습니다. 가장 강력하고 의지가 강한 개인은 기존 가능성 내에서만 미래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가정은 상사가 제한되지 않은 선택권을 가지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이제 그들은 나라를 “독재”로 생각했지만 가장 큰 폭정 속에서도 통치자가 원하는 것을 할 수 없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그들이 그 후 20 년 동안 변함없이 틀렸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성격에 대한 단순하고 무지한 집착은 아무데도 이끌지 않습니다.
they were talking personalities. But there is an objective reality: and the most powerful and strong-willed individual can only shape the future within the existing possibilities. The American assumption seemed to be that the boss had unconstrained choices. Now it’s true that they thought of the country as a “dictatorship” but never even in the greatest tyranny has the ruler been able to do anything he wanted to. No wonder they have, over the ensuing twenty years, been invariably wrong. The simple-minded and ignorant obsession with personalities leads nowhere.
메이플라워호가 도착했던 플리머스 록의 칼빈 주의자들과 그들의 인류를 구원받은 자와 저주받은 자들로 나누는 것으로 시작되었습니까? 1 세기 반 후에 조지 왕이 혼자서 “반복적인 부상과 추방”을 일으켰고“무자비한 인디언 야만인 학살”을 촉구했다는 확신으로 강화되었습니까? 아니면 그 일은 더 최근의 기원을 가집니까? 영화가 끝날 때 할리우드의 거친 사람들이 하루를 구하고 있습니까? 누가 말할 수 있지만 그것은 미국의 세계관 또는 적어도 나머지 세계에 대한 그들의 견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뉴스 미디어는 매번 재생됩니다. 문제는 리더 X 입니다. 우리가 그를 교체하면 모든 것이 더 나아질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Did it begin with the Calvinists of Plymouth Rock and their division of humanity into the saved and the damned? Was it reinforced a century and a half later by the conviction that King George single-handedly caused “repeated Injuries and Usurpations” and urged on “the merciless Indian Savages”? Or is it of more recent origin? Hollywood’s rugged individuals saving the day at the end of the movie? Who can say, but it seems to be hard-wired into the American view of the world – or at least their view of the rest of the world. And the news media play along every time: the problem is Leader X, if we replace him, all will be better.
케네디 행정부의 피델 카스트로에 대한 집착을 언급하는 CIA에 관한 책을 방금 끝냈습니다. 로버트 맥나마라 국방 장관은“ '우리는 카스트로에 대해 미칠 지경이었습니다,' 라고 인정했습니다.”; 수많은 암살 음모가 있었습니다. 미사일 위기로 케네디가 정신을 차린 것 같고, 암살당하기 몇 달 전에 CIA 두목은 그가 뽑은 폭도들에게 카스트로를 죽이려는 음모가 끝났다고 말해야 했습니다. 그 어떤 것도 아무것도 아니었고, 한 플레이어의 말에 따르면 "젠장할 물건의 대부분은 정말 청소년이었습니다." 60 년 후 피델 카스트로는 사라졌지만 - 쿠바는 여전히 도전적으로 남았습니다. 다시 말해 인물이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이란의 모사데그 Mohammad Mosaddegh도 문제라고 말해졌습니다;
I have just finished a book about the CIA which mentions the Kennedy Administration’s obsession about Fidel Castro. “‘We were hysterical about Castro,’ Defense Secretary Robert McNamara acknowledged”; there were innumerable assassination plots. The missile crisis seems to have brought Kennedy to his senses and, a couple of months before his assassination, the CIA principal had to tell the mobster he had picked to organise it that the plot to kill Castro had been terminated. None of it amounted to anything and, in the words of one player “so much of the goddamn stuff was really juvenile.” Sixty years later, Fidel Castro is gone but Cuba remains – still defiant.
Mohammad Mosaddegh of Iran was a problem;
그가 축출된 후에 이란은 한동안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오늘날은 훨씬 더 큰 문제입니다. 그리고 그 사람들은 여전히 그의 전복을 분개합니다. 베트남의 고딘 디엠 Ngô Đình Diệm이 문제였습니다. 그러나 그의 죽음은 단지 더 많은 큰 전쟁으로 이어졌습니다. 소말리아의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도 가야 했지만, 모가디슈 전투 후에는 외려 미국인과 나토가 가버렸습니다. 소말리아는 당시와 마찬가지로 뉴스에서 사라졌습니다.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Slobodan Milošević는 법원에서 그가 무죄라고 판결할 때까지 발칸 반도의 도살자였습니다. 사담 후세인은 매우 포괄적인 문제였습니다. NYT는 우리에게 알렸습니다. 이제 그는 떠났고 이라크는 여전히 문제입니다. 이길 수없고 떠날 수도 없습니다. 북한의 김씨 왕들은 왔다가 갔습니다. 그들은 과거와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기타 등등 – 아사드 Assad, 마두로 Maduro, 가다피 Qaddafi, 아라파트 Arafat, 오르테가 Daniel Ortega 및 야누코비치 Yanukovych; 더 낫고 The Better, 진보하며 Progress, 민주주의 Democracy 및 기타 모든 좋은 것들의 길에서 하나의 장애물이 될 것이 그 사람들 때문이라고 상상된 모든 것이었습니다.
after he was overthrown Iran was not a problem for a while but today it’s an even bigger problem; and they still resent his overthrow. Ngô Đình Diệm in Vietnam was a problem; but his death just led to more war. Mohamed Farrah Aidid of Somalia was another who had to go, but after the Battle Of Mogadishu it was the Americans and NATO who went; Somalia, much now as it was then, has faded from the news. Slobodan Milošević was the Butcher of the Balkans until a court found that he wasn’t so guilty after all. Saddam Hussein was a pretty comprehensive problem, the NYT informed us; now he’s gone and Iraq is still a problem – can’t win it, can’t leave it. Kims in North Korea come and go; it remains the same. And so on and on – Assad, Maduro, Qaddafi, Arafat, Daniel Ortega and Yanukovych; all individuals who were imagined to be the single roadblock in the path of… The Better, Progress, Democracy and all other Good Things.
그러나 가장 큰 두 사람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입니다. 나는 푸틴에 대해 미칠 지경인 미국의 집착에 대해 충분히 썼습니다. 5 년 전에 나는 푸틴에 대한 넌센스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썼다. 그 이후로 그는 선거 관리인, 컴퓨터 해커, 연쇄 중독자 등 괴물처럼 커갔습니다.“ 푸틴 치하의 러시아는 미국과 서방의 다른 국가, 러시아의 이웃 국가, 그리고 그 자신의 국민에게 실존적 위협을 가합니다,” 라는 말은 전형적인 선전 문구 effusion입니다. 인물주의에 유의하십시오. "실존적 위협"은 "러시아"가 아니라 "푸틴 아래의 러시아" 입니다. 푸틴 만 제거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어요 ...
But the two biggest are Russian President Putin and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I have written enough about the crazy American obsession with Putin: five years ago I wrote A Brief Compendium of Nonsense About Putin. Since then he has grown in monstrosity: election rigger, computer hacker, serial poisoner, “Russia under Putin poses an existential threat to the United States and other countries of the West, Russia’s neighbors, and his own people” is a typical effusion. Note the personalism: the “existential threat” is “Russia under Putin”, not “Russia”. If only Putin could be got rid of…
이 글의 저자는 “중국이 할 일 목록의 맨 위에 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어틀랜틱 카운슬 Atlantic Council은 익명의 저자 Anonymous가 작성한 긴 텔레그램 The Longer Telegram : 새로운 미중 전략을 향해 Toward A New American China Strategy를 발표했습니다. 분명히 시진핑 Mr X의 (George Kennan의) 긴 텔레그램 Long Telegram을 반영해야합니다. 그러나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 길이는 훨씬 더 길며 Kennan의 에세이 길이의 7 배에 달합니다. 둘째, Kennan 자신은 자신의 권고가 잘 따르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NATO 확장과 서구의 승리에 완전히 반대했습니다. 나는 이 속임수를 읽는 데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 것입니다 (전 PFC Wintergreen이 그것을 휴지통에 버렸으면 하는 바람). 요약은 충분하며 Kennan의 에세이보다 깁니다. 첫 번째 문장은 우리를 익숙한 입장에 둡니다.
The author of this piece goes on: “China will be at the top of the to-do list”. And the Atlantic Council has emitted The Longer Telegram: Toward A New American China Strategy written by Anonymous. Clearly it is supposed to echo Mr X’s (George Kennan’s) Long Telegram. But some differences: this is longer – much longer, grinding on for seven times the length of Kennan’s essay. Secondly, Kennan himself didn’t think that his recommendations had been well followed and was utterly opposed to NATO expansion and Western triumphantasies. I will certainly not waste my time reading this midden of prolixity (one wishes an ex-PFC Wintergreen had binned it), the summary is more than enough – and it’s longer than Kennan’s essay. The very first sentence puts us on familiar ground
21 세기 미국이 직면한 가장 중요한 단일 도전은 시진핑 대통령 겸 총서기 아래서 점점 더 권위주의적인 중국이 부상하는 것입니다.
“중국 시진핑 대통령 및 총서기”,“러시아 푸틴 대통령”. 또다시 인물론으로 돌아갑니다.
… 시 Xi가 중국으로 돌아왔습니다… 준 마오주의적 인물 숭배… 그의 정치적 반대자들의 체계적인 제거…. 시 Xi는 민족주의를 사용했습니다. Xi의 중국… Xi가 입증한… 중국 아래… Xi는 더 이상 미국의 우월성을 위한 문제가 아닙니다. 그는 이제 민주주의 세계 전체에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
그는 문제이며“ 따라서 중국에 대한 미국의 모든 정치 및 정책 대응은 시진핑 자신의 주요 렌즈를 통해 집중되어야 합니다.” 시 Xi가 아니고 문제 없습니다. 푸틴도 없고 문제 없습니다. 사담도, 문제 없습니다. 가다피 Qaddafi도 없고 문제 없습니다. 멀리 우리는 다시 갑니다.
The single most important challenge facing the United Stat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is the rise of an increasingly authoritarian China under President and General Secretary Xi Jinping.
“China under President and General Secretary Xi Jinping”, “Russia under Putin”. Back to personalities.
…Xi has returned China… quasi-Maoist personality cult… systematic elimination of his political opponents…. Xi has used ethnonationalism… Xi’s China… Xi has demonstrated… China under… Xi is no longer just a problem for U.S. primacy. He now presents a serious problem for the whole of the democratic world…
He is the problem and “All U.S. political and policy responses to China therefore should be focused through the principal lens of Xi himself.” No Xi, no problem; no Putin, no problem; no Saddam, no problem; no Qaddafi, no problem. Away we go again.
더 잘 알고있는 사람들은 시진핑 Xi Jinping의 정책에 맥락이 있다고 지적합니다. 등샤오핑 Deng Xiaoping의 전략 지침인 "기능 숨기기 및 입찰 시간"으로 시작합니다. 기능을 더 이상 숨길 수 없게되자 후진타오 Hu Jintao의 "적극적으로 특별한 성취 Actively Accomplish Something"로 이동했습니다. 시진핑이 적극적으로 성취하고 있는 것, 또는 오히려 그 많은 것. 인물이 포착한 정치와는 거리가 먼 중국은 장기 전략에 초점을 맞춘 집단적 리더십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백그라운드에서 단 하나의 목소리일 뿐이며 인물에 집착하는 (Very Much) Longer Telegram은 미국과 NATO 활동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치는 Atlantic Council에서 나옵니다. 인물주의에 담겨있는 것처럼 그들도 그렇습니다.
Better informed people point out that Xi Jinping’s policies have a context: we start with Deng Xiaoping’s strategic guideline “hide capabilities and bide time”. Once capabilities could no longer be hidden, they moved to Hu Jintao’s “Actively Accomplish Something”. That something – or rather, those many somethings – are being actively accomplished by Xi Jinping. Far from a polity captured by a personality, China has a collective leadership focussed on a long-term strategy.
But that is only one voice in the background and the personality-obsessed (Very Much) Longer Telegram comes from the Atlantic Council which has a far greater influence on U.S. and NATO activities. As it is engummed in personalism, so are they.
인물에 집착하는 사람은 Xi를 없애기 위해 무엇을 해야할까요? 음, 이것은 다른 경우보다 조금 더 어렵습니다. 폭격으로 사담과 카다피가 제거되었지만 중국은 너무 강합니다. 익명의 사람 Anonymous이 생각하는 것처럼 희미한 사람조차도 중국보다 미국에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노스탤지어주의 (미국은“집단적 경제적, 기술적 우월성을 유지해야 함”), 망상 (“미래에 러시아를 중국과 똑같이 [비판적]”), 저하된 시금석 (“현재의 규칙 기반 자유주의 국제 질서 및 비판적으로, 핵심 민주적 가치를 포함한 이념적 토대”) 제공되는 전략은 불쌍합니다.
What do the personality-obsessed suggest be done to get rid of Xi? Well, this is a little more difficult than other cases: bombing got rid of Saddam and Qaddafi but China is too strong. Economic measures, as even someone as dim as Anonymous realises, might hurt the USA more than China. Stripped of nostalgianism (the U.S. must “retain collective economic and technological superiority”), delusion (“Dividing Russia from China in the future is equally [critical]”) and degraded touchstones (“current rules-based liberal international order and, critically, its ideological underpinnings, including core democratic values”), the strategy offered is pitiful.
우리는 시진핑의 소위 일인 통치가 중국의 많은 사람들에 의해 분개한다는 가정에 "레이저에 초점을 맞추도록"초대 받았습니다. 쐐기가 리더십에 박차를 가할 수 있다면 베이징은 행복한시 이전 상태로 돌아갈 것입니다.
중국은 시진핑 이전 5 명의 마오 이후 지도자 모두가 미국과 협력할 수있었습니다. 그 밑에서 중국은 기존의 국제 질서에 동참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으며 중국 자체의 이미지로 다시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이제 미국 중국 전략의 미션은 중국이 2013 년 이전의 경로, 즉시 이전의 전략적 현상 유지로 돌아가는 것을 보는 것이어야 합니다.
We are invited to be “laser focused” on the assumption that Xi’s so-called one man rule is resented by many in China; if a wedge can be driven into the leadership, Beijing will return to the happy pre-Xi state when
China, under all five of its post-Mao leaders prior to Xi, was able to work with the United States. Under them, China aimed to join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not to remake it in China’s own image. Now, however, the mission for U.S. China strategy should be to see China return to its pre-2013 path—i.e., the pre-Xi strategic status quo.
러시아의 귀족들이 알렉산더에게서 멀어질 수 있다는 나폴레옹의 망상과 또 하나의 표적 제재가 푸틴의 부하들이 그를 쫓아낼 것이라는 끈질긴 신념을 떠올리게 합니다. 그러나 Anonymous의 환상은 충분합니다. 현실에는 근거가 없습니다. 미국은 오래 전에 중국에 제조업을 아웃소싱했고 되돌릴 수 없을 것입니다. 깨어남은 교육 시스템을 죽이고 정치가 무너지고 군대는 도처에 잃고 그것을 깨닫지 못하고 부채의 쓰나미가 쌓였습니다. 가장 터무니없는 것은 러시아에 대한 수년간의 불필요한 적대감 끝에 미국은 모스크바와 베이징을 분리할 희망이 없습니다. 그리고 Xi Jinping은 통제권을 장악한 악당이 아닙니다. 그는 강력한 피라미드의 꼭대기입니다.
One is reminded of Napoleon’s delusion that Russia’s nobles could be wedged away from Alexander and the undying conviction that one more targetted sanction will make Putin’s henchmen kick him out. But, enough of Anonymous’ fancies – they have no base in reality: the USA out-sourced its manufacturing to China long ago and won’t be getting it back, wokeism is killing its education system, its politics are broken, its military is losing everywhere and doesn’t realise it, a tsunami of debt has built up. Most absurd of all, after years of needless hostility to Russia, Washington has no hope of separating Moscow from Beijing. And Xi Jinping is not some rogue who seized control – he is the top of a robust pyramid.
이 미약한 노력의 유일한 의미는 그것이 우리에게 또 다른- 그리고 우울하게 영향력있는- 인물에 대한 호기심 많은 미국인의 집착의 예를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것을 중국-미국에서. 관계는 시진핑이 될 때까지 수영을 계속했다. 그러나 실제로 현실을 볼 수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듯이 중국은 한 사람 이상입니다.
중국 / 러시아 /이란 / 이라크 / 국가명 삽입은 그 불쾌한 Xi / Putin / Ayatollah / Saddam / insert-name이 모든 것을 바꿀 때까지 규칙 기반 국제 질서에서 그 자리를 수락하게 되어 기뻤습니다. 그를 제거하면 모두 고쳐질 것이라고 말합니다.
한 사람이 아니라 온나라를 우리가 상대한다는 사실을 언제나 이해할 수 있을까요?
The only significance of this paltry effort is that it gives us another – and depressingly influential – example of the curious American obsession with personalities – everything in Chinese-U.S. relations was going along swimmingly until Xi. But actually, as anyone capable of seeing reality knows, China is much, much more than one man.
China/Russia/Iran/Iraq/insert-name-of-country was happy to accept its place in the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until that nasty Xi/Putin/Ayatollah/Saddam/insert-name changed everything; get rid of him and it will all fix itself.
When are they going to understand that it’s a whole country, not just one guy?
'임시보관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돈의 미국 444 - 왜 아이들을 백신 접종 타겟으로 몰아가는가? (4) | 2021.03.28 |
---|---|
유란시아서 - 브라만교 (0) | 2021.03.23 |
헤븐레터 - 로지의 새로운 그림 소개: "거대한 해동" (라이트 번역) (0) | 2021.03.18 |
유란시아서 - 멜기세덱의 가르침 (0) | 2021.03.14 |
혼돈의 미국 361 - 코로나보다 중앙통제가 더 무서운게 사실인가요? (0) | 2021.02.25 |